Research ⸻

⸻ Thesis


2021


PH.D
A Study on the Product Design & Planning of User-Centric Emergency Medical Space
사용자 중심의 응급의료 공간 제품화 디자인 기획에 관한 연구
;Wang Zhaozhuo (왕조탁)
PH.D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garden spatial form in Korea, China and Japan : focusing on the lifestyle culture of diverse users
한중일 정원 공간형태의 특성 연구 : 다양한 사용자의 생활문화 중심으로
;Hu, Ping Li (후핑리)
M.A
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Fujian Tulou during the Ming and Qing Period of China : Focused on Community Living Space
중국 명청(明清)시대 복건 토루(福建土樓)의 디자인적 특성 연구 : 커뮤니티 생활공간을 중심으로
;Shao Xiaoyue (소효월)


2020


M.A
Design proposal for frailty prevention exercise equipment for pre frailty old man
전(前)노쇠 노인을 위한 노쇠진행예방 운동기구 디자인 제안
;Kim, sol (김솔)
M.A

On the Development of Home Office Furniture Design for Married Women Teleworkers
기혼여성의 재택근무를 위한 홈 오피스 가구 디자인 연구
;Lee, sunjeong (이순정)
M.A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ackage design elements of ‘Gochujang’ to expand the consumer base in the US market
고추장류의 미국시장 소비층 확장을 위한 패키지디자인 개선과 디자인 요소 연구
;Shin Jiyoun (신지연)
M.A
Proposal of Device and Door Design for the Response of the Disorder Behavio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치매노인의 배회행동 대응을 위한 배회감지기 연계 출입문 디자인 제안
;Yeo, sukyoung (여수경)
M.A
Proposal of Dynamic Play Furniture Design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 : Centered on changes in the use of living room according to the family modification
유아의 발달을 위한 동적 놀이가구 디자인 제안 : 가족의 형태변화에 따른 거실의 사용변화를 중심으로
;Jung, boram (정보람)


2018


M.A
A Study on the Strategic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Apartment Design
공동주택 디자인 개발을 위한 전략 도출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Lee, minyoung (이민영)
M.A

A Study on Systemized Furniture Design Based on the Growth of Children and the Needs of Parenting Period
자녀의 성장과 육아시기 니즈를 반영한 시스템가구 디자인 연구
;Park, hwansung (박환성)
M.A
Dietary Life Culture and Spatial Features of Beijing Core Family Residences :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main direction after the New China (from 1949 year)
베이징의 핵(核)가족 주거의 식생활 문화와 공간 특성 : 중국(PRC 1949년)이후 발전 방향을 중심으로
;Hu, Ping Li (후핑리)
M.A
Research on Lifestyle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Chinese Traditional Tea Culture:Set the Comparison of Tea painting in Tang Dynasty, Song Dynasty, Yuan Dynasty, Ming Dynasty and Qing Dynasty as the Center
중국전통 다문화(茶文化)에 나타난 생활방식의 특성연구 : 당, 송, 원, 명, 청나라의 다화(茶畫) 비교를 중심으로
;Wei, zhigang (웨이쯔강)
M.A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Space Conception of San Yuan (Three Distances) of Landscape Painting to Modern Architecture in China
산수화 '삼원' 공간의경의 이론을 기반으로 중국 현대 건축에서의 응용 연구
;Liang, chen (리앙첸)


2016


M.A
A Study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Dining Space in Banga applied to Modern Hanok: Based on the Food Cul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현대한옥에 적용된 전통반가의 식(食)공간 표현 특성 연구 :조선후기 식문화를 중심으로
;Yujeong Park (박유정)


2015


M.A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Design Method Applied to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le Development 개념을 적용한 전시디자인 방법의 특성 연구
;Yin Ruixue (윤서설)
M.A

A Study on the Typology of the Korean Tray Reflecting Change of the Food and Beverage Culture
식문화 변화에 따른 반(盤) 디자인 유형연구
;김지은
M.A
A Comparative Study on Application of Material in Traditional Residents of Korea, China and Japan : Focusing on Representative Upper-class House in 17~18C
한·중·일 전통주택에서의 소재적용 특성 비교 연구 :7~18세기 대표 상류주택을 중심으로
;KIM Hwikyung (김휘경)
M.A
A Study on small apartment Plan design for Chinese elderly
중국 고령자를 위한 소형아파트 평면디자인 연구 : 상해지역을 중심으로
;Xu Long (허룡)
M.A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Chinese-style" Kitchen Space Suitable for Chinese Diet Action
中國 食文化에 따른 食行爲에 적합한 “中國型” 주방공간 개선방법에 대한 연구
;Xu, Yue (서월)
M.A
Formative arts play-spatial apparatus design proposal
유아 감성발달을 위한 조형놀이 공간가구 디자인 제안
;Song ji hong (송지홍)


2014


M.A
Development of Island Kitchen Design Reflecting Changes in New Demand of Single-person Households
1인가구의 신수요 변화에 따른 아일랜드 키친 디자인 개발
;Cho, Eun Kwang (조은광)
M.A

Design Cases in Living Furniture Utilizing Traditional Wooden Furniture Manufacturing Technics
한국 전통목가구 제작기법을 활용한 생활가구 디자인 사례
;Yoo JinKyung (유진경)
M.A
A Case Study on Domestic Nursery Space Design improvement direction
국내 어린이집 공간디자인의 개선방향을 위한 사례 연구
;LEE seul (이슬)
M.A
A Study on the direction of bathroom design through user research : Based on the bathrooms of apartments in downtown
사용자 리서치(User Research)를 통한 욕실디자인 방향 연구 : 도심아파트 욕실을 중심으로
;Kim Yuri (김유리)
M.A
A Comparison of Spatial Composition of Small Apartments in Seoul and Shanghai
서울과 상해 소형아파트의 공간구성 비교 연구 : 가족 공동공간과 개인공간을 중심으로
;Park SooKyung (박수경)


2013


M.A

A Study on Bathroom Design for Small Households
소가구(小家口)를 위한 욕실디자인 연구
;Shin In Chul (신인철)
M.A

A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of characteristic for color design :-Focus on case study of BAN-GA of Joseon Period and MACHIYA of Edo period
한·일 전통주거 공간에 나타난 색채 표현 특성 비교 연구 : 조선시대 반가(班家)·에도시대 마치야(町家) 사례를 중심으로
;Seo Soo Yeon (서수연)
M.A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Quadrangle emerged by residence space of modern in Beijing
북경 현대 주거공간에 반영된 사합원의 디자인 특성 분석
;Gao Cheng Lin (고성림)


2012


M.A

User centered office furniture design : Focused on sales department
사용자 중심의 오피스가구 디자인 :영업직군을 대상으로
;Subum Kwon (권수범)
M.A

A Kitchen Design Study based on the value of Sociocultural Aspects
사회문화적 측면의 가치관에 따른 주방 디자인연구
;Jin Ae Ri (진애리)


2011


M.A
A Furniture Design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from the Reinterpretation of the Function
기능의 재해석을 통한 융복합가구 디자인 : 협탁가구 기능을 중심으로
;CHOO DU WEON (추두원)
M.A

A Study on Versatile Chair Design Reflecting User Behavior
사용자행태가 반영되는 가변형 의자 디자인에 관한 연구
;Kim, Gwang-Hee (김광희)
M.A
A proposal of module bookcase design which is suitable for the modern living space
현대 주거공간에 적합한 모듈책장디자인 제안
;Kim Tae Hee (김태희)
M.A
Furniture Design for Functional Shift in Small Living Space
소형 리빙공간에서 기능전환을 위한 가구 디자인
;김현정
M.A
User-centered Lighting Design in Living Space
주거 공간 내 사용자 중심의 조명 디자인
;Kim Miri (김미리)
M.A
Design Direction of the Furniture and Products in the Bathroom Space
고령사회를 위한 욕실공간 가구 및 제품 디자인의 방향
;Kim, Jee Min (김지민)
M.A

An Analysis and Suggestion Study on the Display
아동가구의 디스플레이 분석 및 제안 :오스트발트 및 파버비렌 색채조화론을 중심으로
;안혜련
M.A

A Study on traditional Built-in closets and wardrobe's Spatial and Using attributes
조선 전통가옥 벽장·반침의 공간 및 사용적 특성 연구
;신형진
M.A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 in traditional palaces of Korea, China and Japan
한중일 궁궐건축 지붕부 의장특성 비교연구 : 장식, 패턴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Kim Myoung (김명)


2010


M.A

A comparative study of fittings appearing in the traditional dwelling between Korea and China : Focusing on houses of nobility in Joseon Dynasty Period and Siheyuan Housing in Ming&Qing Dynasty Period
한국과 중국의 전통주거공간에서 창호와 공간의 관계에 관한 비교연구 : 조선시대 반가와 명ㆍ청시대 북경 사합원을 중심으로
;Heo Yoon-Sil (허윤실)
M.A

A comparative study on the behavior of dining space and tableware in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Joseon Dynasty and Edo Period
한국과 일본의 식공간 및 도구 사용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 조선시대와 에도시대를 중심으로
;Koh Eun-Byul (고은별)


2009


M.A

Thesis on Chosun Era’s Soban Design
조선시대 小盤의 디자인 연구
;Kim chae young (김채영)
PH.D

The comparative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furniture and Chinese furniture in 15th-19th Centuries
15-19 世紀 韓·中 家具 디자인의 特性 및 比較 硏究
;Liu, Tie Jun (류티에준)


2008


M.A

Discovering Method of Interior Image Analysis and Case Study
인테리어 이미지 분석틀과 적용에 관한 연구
;Lee Yunhui (이윤희)
M.A

A Study on Interactiv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 and Furniture
실내공간과 가구의 상호적 특성에 관한 연구
;Jin Gyeongmi (진경미)
M.A
The Public Resting Place Design Plan Considering User Behavior in Downtown Area
사용자행태를 고려한 도심 공공 휴식공간 디자인 방안에 관한 연구
;Lee Eun-Jung (이은정)
M.A
The Analysis of User Research Method Based on User Cultural FFocus on Behavior in Children's Roomactors
사용자 문화요소에 의한 User Research의 분석방법 연구 : 어린이 아동방 사용행태를 중심으로
;Huang Yuan (황원)
M.A
Mutual Relationship of Space and Object following Affordance through Spatial Experience : Focusing on Human Being's Cognitive System
공간 경험을 통한 Affordance에 따른 공간과 오브제의 상호관계 :인간의 인지적 체계 중심으로
;Park Yoo mi (박유미)


2004


M.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Traditional Housing on Characteristic of Space Usage : Focusing on Beijing's Siheyuan from Ming and Qing Dynasties and Chosun's court-embracing Yangjindan
공간사용특성에 따른 한국과 중국 전통주거 비교연구 : 조선시대 양진당과 명·청시대 사합원을 중심으로
;Kang Hui (강희)
M.A

Kitchen Space Planning & Designing for Family Collaboration
家族參與形 廚房 設計에 관한 연구
;Yoon Doo won (윤두원)


2003


M.A

Study on Interior Space by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Family Types
家族有形別 行態적 特性에 따른 室內空間에 關한 硏究
;Lee Byeong yeong (이병영)


2002


M.A

사용자중심 디자인 관점에 의한 가구디자인 전개방법 연구 : 문화적 요소 적용을 중심으로
;정지수
M.A

A Study on User Observation for Application to Interior Design
실내디자인 적용을 위한 사용자 관찰법에 관한 연구 : 자녀방 디자인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Noh JIn hui (노진희)